■ 문장을 비교하는 변수.equals("")
숫자는 ==를 통해 같은지 다른지 비교할 수 있다.
1000000000==1000000000 ☞ true
10000==1000000000 ☞ false
그런데 입력값이 문자열일 때는 ==를 사용할 수 없다.
if(변수.equals(""))를 사용하여 비교해야 한다.
■ int 와 %d = 정수치환
class Main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int 나이 = 10;
int 키 = 185;
int 회원번호 = 12;
System.out.printf("%d번 회원 %d살 홍길동 키는 %d", 회원번호,나이,키);
}
}
실행하면 System.out.printf 안의 %d 자리의 순서대로 변수이름에 맞춰서 값을 넣어준다.
■ double 또는 float 와 %f = 실수 치환
값으로 적은 그대로 출력되길 원한다면 double을 쓴다.
double 키 = 185.5;
System.out.printf("%d번 회원 %d살 홍길동 키는 %f", 회원번호,나이,키);
그런데 실행을 하여 소수 몇째자리까지 표기하는 걸 정하고 싶다면 float를 사용한다.
float 키 = 185.5f;
System.out.printf("%d번 회원 %d살 홍길동 키는 %f.3", 회원번호,나이,키);
라고 적어주면, '몇번회원 몇살 홍길동 키는 185.500'라고 소수 셋째자리까지 나온다.
같은 원리로 소수 다섯째자리까지 나오게 하고 싶다면 %f.5라고 쓰면 된다.
■ 글자 치환
*문자 한개 = 홀따음표, char
char v = 'd';
System.out.printf("v:%c", v);
실행하면 ' v:d '라고 뜬다.
*단어나 문장 = 쌍따음표, String
Stirng 이름 = "홍길동";
System.out.printf("제 이름은 %s입니다.", 이름);
실행하면 ' 제 이름은 홍길동입니다. '라고 뜬다.
'IT관련 > JAVA_정리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소드(method)기초 (0) | 2020.04.26 |
---|---|
반복문 기초 (0) | 2020.04.25 |
변수의 의미 (0) | 2020.04.24 |
지역변수와 멤버변수 요약 (0) | 2020.04.23 |
클래스선언 (0) | 2020.04.23 |
댓글